교육46 22. 논설문 잘 쓰는 법 | 3단 구성이 정답! © jakobowens1, 출처 Unsplash 논설문의 구성 1. 서론 - 본론 - 결론 3 단 구성 - 서론 0.2 / 본론 0.6 / 결론 0.2 분량 배분 2. 문장이 새로 시작할 때 첫 칸도 글자수에 포함 - 문장 부호나 한 단락의 끝 문장 뒷부분도 글자수 포함 3. 20칸 짜리 원고지에 60줄 분량 (6장, 1200자) - 평소 글을 쓸 때도 원고지에 써보면 분량 체크 가능 - 600자의 경우, 서론 120자, 본론 360자, 결론 120자로 작성 - 분량을 정하면 글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4. 학생 개인 파일에 자료 넣어 놓고 글쓰기 향상 관리 © myke_simon, 출처 Unsplash 서론 쓰기 1. 서론은 글의 첫인상이며 앞으로.. 2020. 9. 12. 18. 추론 | 연역법 vs 귀납법 © anniespratt, 출처 Unsplash 추론이란? '추론' 이란 주장(명제)이 있고, 논거를 통해 주장이 진실하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밝혀나가는 과정이에요. 기존의 판단을 바탕으로 새로운 판단을 이끄는 것이죠. 추론의 종류에는 연역법, 귀납법, 변증, 유추법이 있어요. © masjidmpd, 출처 Unsplash 연역법 1. 보편(일반)적 상황에서 출발해 특수한 상황으로 진행 2. 전제가 결론으로 이루어짐 3. 대전제는 보편 명제여야 함 4. 큰 범위에서 작은 범위 추려내는 일 5. 주로 절대적 개념을 분석할 때 사용 6. 개념 가정 후, 하위 개념 만들때에 적당 7. 연역법의 구성 - 대전제 : 참인 명제 - 소전제 : 그 명제에 함축된 것을.. 2020. 9. 8. 메타인지 | 0.1%의 비밀, 자기객관화, 자신의 기억력을 바라보는 눈의 차이, 출력하는 공부, 말하기, 글쓰기, 오래 기억, 학습효율성, 자기주도학습 “메타인지”란? '메타인지(Metacognition)'란 한단계 고차원을 의미하는 ‘메타’와 어떤 사실을 안다는 뜻의 ‘인지’를 합친 용어로, 자신의 인지능력에 대해 알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무언가를 배우거나 실행할 때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자기객관화 능력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메타인지 #자기객관화 #아는것과모르는것 우등생과 열등생을 가르는 척도 메타인지 능력의 차이 0.1%의 비밀이라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전국모의고사 석차 0.1% 안에 들어가는 800명의 학생들과 평범한 학생들을 비교 실험을 하며 두 그룹 간의 차이를 탐색하는데 예상과 달리 I.. 2020. 9. 6. 스미스의 국부론 (이재유, 삼성출판사, 2006) l 경제를 움직이는 사람의 동기는 이기심이다. © jpvalery, 출처 Unsplash 스미스는 경제를 움직이는 사람들의 동기는 이기심이라고 말합니다. 자유로운 활동이 보장된다면, 사람들은 이기심과 생활을 개선하려는 본능에 의해 자율적으로 경제 활동을 하고 부를 축적한다는 것이죠. 27p 인간은 항상 주위 사람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데, 이 도움을 오로지 주위 사람들의 자비에서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오히려 지신의 이익을 위해 주위 사람의 이기심을 자극하고, 자신의 요구 사항을 받아들이는 것을 주위 사람에게도 이익이 된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 더 좋다. 다른 사람과 거래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그렇게 하려고 한다. 내가 필요한 것을 네가 주면, 네가 필요한 것을 내가 주겠다는 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필요한 호의.. 2020. 9. 5. 이전 1 2 3 4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