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46

150년 하버드 글쓰기 비법은 오레오(OREO)? #하버드대학 #글쓰기수업 #논리적글쓰기 #오레오법칙 오레오맵이란? 하버드 대학교는 글쓰기 수업에서 쓸거리, 즉 메시지를 개발하는 방법 부터 가르친다. ​ 이 방법의 근간은 "논리적 사고력!" ​ ​ © mangofantasy, 출처 Unsplash ​ ​ 오레오맵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쓸거리를 개발하는 도구로 글쓰기 교육에 활용하는 ​ 논리적 사고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구성하는 발상 기법 ​ ​ © lykz, 출처 Unsplash ​ ​ 오레오맵은 미국 초등학교에서 설득하는 글쓰기를 가르칠 때 사용하는 그래픽 오거나이저에서 힌트를 얻어 개발한 글쓰기 도구! ​ ​ © gradienta, 출처 Unsplash ​ ​ 오레오맵은 생각과 자료를 배치하여 설득력 있는 메시지를 만들어내는 도구로, ​ 의견을 주장하고 증명하는 요소 4가지를 갖춘다. ​ © plushd.. 2020. 7. 8.
6단 논법 | 토론과 논술의 논리적인 전개 방식! #생선뼈토의토론#토의토론논술#툴민의논리6단계#안건#결론#이유#설명#반론(꺾기)#예외정리#미국논술#내생각이가장옳다​ 우리는 토론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글의 6단계를 배우게 되는데요. 잘 준비된 토론은 짜임새있는 글의 구성에 도움을 줍니다.^^ ​ ​ © hypethat, 출처 Unsplash ​ ​ ​ ​ 생선 뼈 (fish bone) 토의 토론 ​ ​ ​ 1. 개념 ​ 1) 원인-결과 그림(cause and effect diagrams)의 일종 - 이시가와 다이아그램(Kaoru Ishikawa,1985년) ​ 2) 목적 - 문제의 원인을 분명히 하기 위해 구조화된 그림을 생선 가시처럼 그려서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원인이 분석되면 그에 따른 정확한 해결책도 찾을 수 있다. ​ 3) 적용 - 토의∙토론을 통해 문제 인식과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무엇이 부족한지와 문제해결 대안 모색, (큰 가시와 작은 가.. 2020. 7. 8.
추론 | 연역법 vs 귀납법 #추론이란무엇인가#연역법#연역법사례#귀납법#귀납법사례​ 추론이란? 추론이란 주장(명제)이 있고, 논거를 통해 주장이 진실하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밝혀나가는 과정이에요. 기존의 판단을 바탕으로 새로운 판단을 이끄는 것이죠. 추론의 종류에는 연역법, 귀납법, 변증, 유추법이 있어요. ​ ​ ​ ​ © masjidmpd, 출처 Unsplash ​ ​ 연역법 1. 보편(일반)적 상황에서 출발해 특수한 상황으로 진행 ​ 2. 전제가 결론으로 이루어짐 ​ 3. 대전제는 보편 명제여야 함 ​ 4. 큰 범위에서 작은 범위 추려내는 일 ​ 5. 주로 절대적 개념을 분석할 때 사용 ​ 6. 개념 가정 후, 하위 개념 만들때에 적당 ​ 7. 연역법의 구성 -대전제 : 참인 명제 - 소전제 : 그 명제에 함축된 것을 끌어내는 명제 - 결론 ​ 8. 전제가 참이면, 결론도 참이다 (.. 2020. 7. 8.
토의토론 유형 | DCS , 6색생각모자, 브레인스토밍, 브레인라이팅 © thomaskinto, 출처 Unsplash ​ ​ ​ ​ 1. DCS(Disney Creativity Strategy) 1. 목적 - Walt Disney가 환상적인 이야기를 실제로 실현해 간 것에 영감을 받아 Robert Dilts(1994)가 제안한 방법. - 학생들의 상상력을 길러주고, 현실감과 정교성을 길러주는 교육용으로 구성원에게 세 가지 역할이 주어진다. - 예) 몽상이(dreamer) / 현실이(realist) / 비판이(critic) ​ ​ ​ 2. 특징 ​ 1) 몽상이(dreamer) - 이상적인 세계를 상상하고, 그 상상으로 가능한 모든 것을 제안. 몽상이라는 역할을 부여하였기 때문에 자신의 상상 아이디어를 마음껏 만들어 보는 역할. ​ 2) 현실이(realist) - 몽상이의 아.. 2020.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