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운의 변동
교체, 축약, 탈락, 첨가
(1) 개념 : 어떤 음운이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현상
(2) 변동 원인: 발음을 편하게 하기 위한 현상
(3) 탐구 이유: 우리말을 올바르게 발음하고 표기하기 위한 것
(4) 종류
교체 |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
축약 |
두 음운이 결합하여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 |
탈락 |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 |
첨가 |
없던 음운이 새로 생기는 현상 |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의 끝에 ㄱㄴㄷㄹㅁㅂㅇ 이외의 자음이 오면
이 일곱 자음 중 하나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
자음 |
발음 |
예시 |
ㄱ,ㄲ |
ㄱ |
밖-박 / 부엌-부억 |
ㅌㅅㅆㅈㅊㅎ |
ㄷ |
낱,낫,낮,낯 - 낟 |
ㅍ |
ㅂ |
무릎-무릅 |
2. 교체
비음화, 유음화, 된소리되기, 구개음화, 두음법칙
비음화 |
ㄱㄷㅂ이 비음 ㄴㅁ의 영향을 받아 비음 ㅇㄴㅁ으로 바뀌어 소리나는 현상 |
깎는-깍는>깡는 쫓는-쫃는>쫀는 잡는-잠는 국민-궁민 받는다-반는다 밥물-밤물 종로-종노 섭리-섭니>섬니 박물관-방물관 속리산-속니산>송니산 닫는-단는 십만-심만 앞문-압문>암문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 책 넣는다-챙넌는다/밥 먹는다-밤멍는다 |
유음화 |
비음ㄴ이 앞이나 뒤에 오는 유음 ㄹ의 영향을 받아 ㄹ로 바뀌어 소리나는 현상 |
신라-실라 칼날-칼랄 논리-놀리 권력-궐력 선릉-설릉 대관령-대괄령 만리포-말리포 천령산-철령산 광한루-광할루 한라산-할라산 난로-날로 천리-철리 실내-실래 찰나-찰라 실눈-실룬 달님-달림 |
된소리되기 |
예사소리 ㄱㄷㅂㅅㅈ이 앞의 소리에 영향을 받아 된소리인 ㄲㄸㅃㅆㅉ으로 바뀌어 소리나는 현상 |
옷고름-옫고름>옫꼬름 작다-작따 국밥-국빱 입술-입쑬 옆집-엽집>엽찝 학교-학꾜 안고-안꼬 신고-신꼬 늦게-늗께 참고-참꼬 감다-감따 갔다-갇따 싶었다-시펃다-시펃따 좋겟다고-조켇다고-조켇따고 골랐다-골랃다-골랃따 식당-식땅 맛있었다-마시썯다 독도-독또 밥상-밥쌍 국수-국쑤 발전-발쩐 갈증-갈쯩 결정-결쩡 덮개-덥깨 먹다-먹따 먹보-먹뽀 말살-말쌀 물질-물찔 할것을-할거슬>할꺼슬 |
구개음화 |
끝소치 ㄷㅌ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나 ㅈㅊ으로 바뀌어 소리나는 현상 |
굳이-구지 같이-가치 해돋이-해도지 굳이-구지 미닫이-미다지 가을걷이-가을거지 붙이다-부치다 볕이-벼치 겉이-거치 솥이-소치 맏이-마지 쇠붙이-쇠부치 *'견디다'처처럼 하나의 형태소 '디'안에 'ㄷ'과 'ㅣ'가 연속하고 있을 때는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
두음법칙 |
일부 소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발음되는 것을 꺼려 다른 소리로 발음되는 현상 |
남녀-여자 경로-노인 선량-양심 (예외: 일부 의존 명사는 본음대로 적음-낭,년,리 /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는 두음법칙 적용: 신여성, 공염불, 남존여비) / 모음이나 ㄴ받침 뒤 렬, 률은 열,율로 적음: 나열,치열,비율,분열,백분율) |
*자음 동화
- 음절의 끝 자음과 그 뒤에 이어지는 자음이 만날 때 서로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는 현상
- 비음화가 유음화가 이에 해당
- 자음동화는 표준 발음으로 인정
*비음화
- 비음: 코로 공기를 내보내며 내는 소리 (ㄴ,ㅁ,ㅇ)
- 조음 위치는 그대로이고, 조음 방법에서 파열음(ㅂㄷㄱ)이 비음(ㅁㄴㅇ)으로 바뀌는 변동현상
*구개음
- 센입천장소리, 혀를 입천장에 대어 폐쇄시키면서 마찰하여 내는 소리
*형식형태소
실질적인 의미를 지니는 실질형태소에 붙어
주로 말과 말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형태소 (조사, 어미 등)
3. 축약
거센소리되기, 모음축약
거센소리되기 |
예사소리 ㄱㄴㅂㅈ이 ㅎ가 만나 거센소리 ㅋㅌㅍㅊ으로 소리나는 현상 |
낳고-나코 맏형-마텽 법학-버팍 그렇지-그러치 국화-구콰 옷 한 벌 - 옫한벌-오탄벌 맞히다-마치다 좁히다-조피다 |
모음 축약 |
모음과 모음이 만날 때에 두 모음이 하나의 모음으로 줄어드는 현상 |
오+아서-와서 두+었다-뒀다 뜨+이다-띄다 가지+어-가져 되_어-돼 쓰+이어-쓰여/씌여 |
4. 탈락
자음군 단순화, 모음 탈락
자음군 단순화 |
음절 끝에 두 개의 자음이 놓일 때에 둘 중 하나의 자음만 남고 하나는 탈락하는 현상 |
넋-넉 흙-흑 삶-삼 |
모음 탈락 |
두개의 모음이 만났을 때 한 개의 모음이 탈락하는 현상 |
쓰+어 - 써[ㅡ탈락] 가+아서-가서[ㅏ탈락] 끄+어라-꺼라[ㅡ탈락] 아프+아도-아파도 예쁘+어서-예뻐서 가+아라-가라 [ㅏ탈락,동음생략] 서+어라-서라 [ㅓ탈락,동음생략] *동음생략: 가+아라-가라와 같이 한 단어 안에 같은 음운이 연속될 때 그중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 |
* 음운 축약과 탈락의 차이점
- 축약 : 두 음운이 합쳐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듦.
(A+B - C : 두 음운의 중요한 성질이 남음)
- 탈락 : 두 음운이 만날 때 하나의 음운이 탈락함.
(A+B - A 또는 B : 한 음운의 성질이 모두 없어짐)
*음절이 끝소리 규칙과 자음군 단순화
-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의 끝자음이 다른 자음으로 바뀌어 소리나는 교체 현상
- 자음군 단순화: 두 개의 자음 중 하나의 자음이 사라지는 탈락 현상
*반모음
- 모음과 함께 발음하지만 음절을 이루지 못하는 아주 짧은 모음
- ㅑ ㅕ ㅘ ㅝ 와 같은 이중 모음에서 나는 ㅣ ㅗ ㅜ 등을 말한다.
5. 첨가
'ㄴ' 첨가, 반모음첨가
'ㄴ'첨가 |
합서엉나 파생어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할 때 'ㄴ'이 첨가되는 현상 |
맨입-맨닙 늦+여름-늗여름>늗녈름/는녀름 |
반모음 첨가 |
어간과 어미가 모두 모음일 때 모음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반모음이 첨가되는 현상 |
피+어 - 피어/피여 좋아+도-조아도/조와도(x)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는 반모음첨가 : 피어[피어/피여], 되어[되어/되여], 이오[이오/이요], 아니오[아니오/아니요] |
6.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의 필요성, 구성, 기본 원칙
(1) 한글 맞춤법의 필요성
- <한글 맞춤법>에 어긋날 표현은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어려워 의사소통에 혼란이 생김.
- <한글 맞춤법> 규정을 지킴으로써 정확하고 올바른 의사소통이 가능해짐.
(2) 한글 맞춤법의 구성
본문 |
제1장 총칙 제2장 자모: 한글 자모의 수, 순서와 이름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된소리, 구개음화, ㄷ소리 받침, 모음, 두음법칙, 겹쳐 나는 소리에 관한 규정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체언과 조사, 어간과 어미,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준말에 관한 규정 제5장 띄어쓰기: 조사,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보조 용언, 고유명사 및 전문 용어에 관한 규정 |
부록 |
문장부호 |
(3)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칙
- 제1장 총칙 제1항 :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한글을 소리대로 적는 방법과 원형을 밝히어 적는 방법을 효율적으로 조화시킴. |
* 한글은 말소리를 그대로 기호로 나타낸 표음 문자이므로 자음과 모음의 결합 형식에 따라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 것이 원칙임 (나무[나무], 구름[구름], 하늘[하늘]) * 표준어를 소리대로만 적으면 뜻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뜻을 파악하기 쉽도록 각 형태소의 본 모양을 고정하여 적음. (꽃[꼳]-꽃이[꼬치]-꽃만[꼰만] -꽃(ㅇ) 꽃(X) 꼬ㅊ(X) 꼰(X)) |
▶우리 말을 한글로 적는 모든 사람들이 보다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함. |
- 제1장 총칙 제2항 :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나물좀다오. |
나 물 좀 다오. - 나에게 물을 달라는 의미 나물 좀 다오. - 나물을 달라는 의미 |
▶띄어쓰기를 하면 문장이 지닌 뜻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글을 읽는 데에도 능률적임. |
띄어쓰기 관련 한글 맞춤법 |
내용 |
예시 |
제5장 제41항 |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
꽃이, 꽃마저, 어디까지나, 멀리는, 웃고만 |
제5장 제42항 |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
아는 것이 힘이다. 나도 할 수 있다. 먹을 만큼 먹어라. 그가 떠난 지 오래다. |
제5장 제43항 |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쓴다. |
한 개, 소 한 마리, 옷 한 벌, 집 한 채, 신 두 켤래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나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쓸 수 있다. 두시 삼십분 오초, 육층, 16동 502호, 7미터) |
조사를 앞말에 붙여 쓰는 이유 |
- 단어를 독립적으로 쓰이는 말의 단위이기 때문에, 글은 단어를 단위로 하여 띄어 쓰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음. - 조사는 접미사 범주에 포함시키기 어려워서 하나의 단어로 다루고 있으나 형식 형태소이며 의존 형태소이므로 그 앞의 단어에 붙여 씀. |
*표준어
- 한 나라가 법으로 정해 놓은 언어 규범이다.
- 그 나라에서 쓰이는 말 중 가장 큰 세력 가지고 있고, 사람들이 가장 좋은 말로 여기는 말을 바탕으로 한다.
- <표준어 규정> 제1장 총론 제1항에서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