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9 미래엔고1국어ㅣ1단원 서정갈래 / 서사갈래 개념 정리 #이태준#달밤#황수건#1인칭주인공#서정적인 분위기#여운#일제강점기#홍계월전#남성중심사회 1-1. 서정 갈래의 이해 1. 서정 갈래의 개념 인간의 감정과 생각을 운율이 있는 압축된 언어로 노래하는 문학 양식 - 고대 가요, 향가, 고료 속요, 시조, 민요, 한시, 현대시 등 2. 시의 특징 - 시적 화자가 등장해 대상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며, 운율이 있는 언어를 통해 음악성을 형성 - 비유와 상징 등의 다양한 표현 기법, 감각적으로 형상화한 심상 등을 통해 정서와 분위기 환기 3. 시적 화자의 개념 - 시에서 '화자'란 작가의 대리자 역할을 하는 존재 - 시의 여러 가지 요소 가운데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시상 끌어가는 역할을 함. - 소설의 서술자처럼 어떤 상황이나 사건 알려 주고,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이나 느낌,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 -.. 2020. 7. 7. 지학사고1국어ㅣ1-2.소설과 서사(봄.봄_김유정) #소설과서사#서사문학갈래#김유정#봄봄#1인칭주인공시점#역순행적구성#해학적#토속어,비속어사용 © _entreprenerd, 출처 Unsplash 봄 · 봄 저자: 김유정 “장인님! 인제 저…….” 내가 이렇게 뒤통수를 긁고, 나이가 찼으니 성례를 시켜줘야 하지 않겠느냐고 하면 대답이 늘, “이 자식아! 성례구 뭐구 미처 자라야지!”하고 만다. 이 자라야 한다는 것은 내가 아니라 내 아내가 될 점순이의 키 말이다. 내가 여기에 와서 돈 한 푼 안 받고 일하기를 삼 년 하고 꼬바기 일곱 달 동안을 했다. 그런데도 미처 못 자랐다니까 이 키는 언제야 자라는 겐지 짜장 영문 모른다. 일을 좀 더 잘해야 한다든지, 혹은 밥을 많이 먹는다고 노상 걱정이니까 좀 덜 먹어야 한다든지 하면 나도 얼마든지 할 말이 많다. 허지만 점순이가 아직 어리니까 더 자라야 한다는 여기에는 어째 볼 수 없이 고만 빙빙.. 2020. 7. 7. 지학사고1국어ㅣ1-1. 시와 서정 (동짓달기나긴밤을_황진이) #지학사고1국어#문학의갈래#갈래별형상화방법#갈래별특징#서정#서사#교술#극#소설의핵심구성요소는인물사건배경#동짓달기나긴밤.. © wide_leaf, 출처 Unsplash 문학의 갈래 개념 문학 작품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것 종류 서정, 서사, 교술, 극 나누는 기준 형상화의 방법, 즉 주제나 내용을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 나누는 목적 개별 작품의 구조와 의미를 깊이 있기 이해하기 위해 갈래별 형상화 방법의 차이 서정 시상이나 정서를 압축된 언어로 표현 서사 인물을 중심으로 사건의 전개를 서술 교술 세계와 삶에 관한 성찰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전달 극 대사와 행동으로 사건의 양상을 직접 보여줌 갈래별 특징 서정 주관적 목소리로 정서와 감정을 표출하는 문학 -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 - 시어를 섬세하게 사용하고 비유, 상징, 이미지, 운율 등을 통해 주제나 정서를 집약하여 표현 서사 어떤 사건을 특정.. 2020. 7. 7. 미래엔고1국어ㅣ1-2. 서사갈래의 이해(달밤_이태준) #서사갈래#소설의개념#소설의특징#소설의3요소#소설의인물#간접제시#직접제시#소설의시점#1인칭주인공시점#1인칭관찰자시점#전지적작가시.. © aronvisuals, 출처 Unsplash 서사 갈래의 이해 1. 서사 갈래의 개념과 하위 갈래 1) 개념: 현실에서 실제로 일어날 법한 이야기를 허구적 인물과 사건을 통해 형상화한 문학 양식 2) 특성: 특정 공간과 시간을 배경으로 어떤 인물이 겪는 여러 가지 사건을 의미 있게 꾸며 낸 이야기 3) 하위 갈래: 설화, 고전 소설, 신소설, 현대 소설 등 © andrewlloydgordon, 출처 OGQ 소설의 이해 1. 소설의 개념 사실 또는 작가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여 허구적으로 이야기를 꾸며 나간 산문 문학의 한 갈래 2. 소설의 특징 산문성 소설은 산문으로 이루어진 문학 개연성과 허구성 소설은 개연성 있는 허구로 이루어진 이야기 진실성 소설은 허구를 통해 인.. 2020. 7. 7. 이전 1 ··· 18 19 20 21 22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