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9

[중등국어문법] 문법 요소ㅣ#피동표현#능동표현과피동표현#사동표현#주동표현과사동표현#인용표현#직접인용문#간접인용문#부정표현#안부정문#못부정문#짧은부정문#긴부정문#청유문과명령.. 피동 표현 (당하는 것) 암기법: 피당 ​ 1. 능동 표현과 피동 표현 ​ - 동작이나 행위를 주어가 제 힘으로 하느냐, 당하느냐에 따라 능동표현/피동표현으로 나뉜다. ​ 능동표현 주어가 어떤 행동을 제힘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 모기가 아이를 물었다. 피동표현 주어가 다른 대상에 행동을 당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 아이가 모기에게 물렸다. ​ ​ ​ 2. 피동 표현의 실현 방법 ​ 1) 동사 어근에 피동 접미사 '-이-, -히-, -리-, -기-'를 붙임 .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능동문)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피동문) ​ ​ 2) 동사 어간에 '-어지다', '-게 되다'를 붙임. 건물이 지어졌다. 사건의 전모가 드러나게 되었다. ​ ​ 3) 일부 명사 뒤에 피동 접미사 '-되다'를 붙임. 민.. 2020. 7. 7.
[중등국어문법] 문장성분, 문장구조ㅣ#문장성분#문장성분의종류#주성분#부속성분#독립성분#문장의짜임새#홑문장#겹문장#이어진문장#대등하게이어진문장#종속적으로이어진문장#안은문장#안.. 문장은 생각이나 감정을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의 언어 형식입니다. ​ 우리 친구들이 문장을 공부할 때는 ​ 1. 문장 성분 3가지 (암기법: 주 부속 독) 2. 문장 구조 2가지 (암기법: 홑 겹-이안) 3. 문법 4. 담화 ​ 네 부분으로 나누어 공부하면 좋습니다. © eprouzet, 출처 Unsplash ​ ​ ​ ​ ​ ​ 1. 문장성분 문장을 이루는 데 일정한 구실을 하는 각 요소 ​ 1) 주성분 주서목보 ​ 1) 주성분 *암기법: 주성분은 주서목보 (문장을 이루는 데 꼭 필요한 기본) ​ - 주어: 누가/무엇이 ex. 우리는 중학생이다 ​ ​ - 서술어: 무엇이다/어떠하다/어찌하다 ex. 그는 학생이다 ​ - 목적어: 누구를/무엇을 ex. 영주는 친구를 찾았다 ​ - 보어: '이/가'가.. 2020. 7. 7.
[중등국어문법] 문법 요소ㅣ#문법요소#종결표현#평서문#의문문#명령문#청유문#감탄문#높임표현#주체높임법#객체높임법#상대높임법#시제#과거시제#현재시제#미래시제#동작상 종결표현 5가지 (평의명청감)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 종결표현 종결 어미를 사용하여 화자가 청자에게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방식 - 종결표현에 따라 의미가 좌우됨. ​ - 종결표현을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종결 어미, 종결 어미의 형태에 따라 문장의 종류 달라짐. ​ - 상황에 따라 종결표현의 형식과 기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 '문을 열라'는 명령의 기능 => 문을 열어라(명령문) / 문을 열까?(의문문: 완곡한 표현) / 문을 열자 (청유문: 완곡한 표현) ​ - 종결 어미를 통해 상대에 대한 높임의 정도를 알 수 있음. ​ ​ ​ ​ 1. 평서문 ​ - 화자가 청자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바 없이,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 - 종결어미 '~다, ~.. 2020. 7. 7.
국어문법ㅣ#음운#음성#음절#음운의개념#음운의종류#모음의분류#단모음#이중모음#단모음의분류#고모음#중모음#저모음#원순모음#평순모음#전설모음#후설모음#단모음체계표#소리의길이#자음의.. 음운과 음성, 음절의 차이 1. 음성 - 음성은 소리 음(音) 소리 성(聲) -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말소리 - 사람마다 '말'이라는 단어를 서로 다른 음성으로 발음 ​ ​ 2. 음운 - 음운은 소리 음(音) 운 운(韵) - 머릿속에서 같은 소리로 인식하는 추상적인 말소리 - '말'이라는 단어를 'ㅁ', 'ㅏ', 'ㄹ'이라는 동일한 음운으로 이루어진 말로 기억 ​ ​ 3. 음절 - 음절은 소리 음(音) 마디 절(節) - 한 번에 발음할 수 있는 말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 '사랑'이라는 말을 [사]와 [랑]이라는 두 음절로 발음 ​ © jasonrosewell, 출처 Unsplash ​ ​ ​ 음운 1. 음운의 개념 - 말의 뜻을 구별해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 음운 .. 2020.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