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9 17. 논술에서의 “논리” |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방법 © yancymin, 출처 Unsplash 논리란 무엇인가? 논리란, logos 또는 logic 으로 원리, 이치, 논리, 언어, 진리를 뜻합니다. 논술에서 논리는,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이겠죠! © yancymin, 출처 Unsplash 논리를 시작하기 위한 준비 운동 1. 주의 집중 2. 사실 확인 - 사건이나 사물을 모두 가리키는 중립적 의미의 사실 확인 - 직접증거: 보고 들은 것 - 간접증거: 기사, 신문, 타인의 말 등 3. 관념의 씨앗 찾아내기 - 관념은 객관적 사실이 주관화 된 것 (오렌지 하나에 대해서도 맛있다, 오돌토돌하다, 단단하다 등 생각이 모두 다른데, 이런 다른 생각들을 관념이라고 합니다.).. 2020. 9. 7. 16. 주장하는 글쓰기 | 논술의 기초는 “독서”다! © christianfregnan, 출처 Unsplash 독서와 논술은 지도방식이 다르고, 뇌의 구조도 다르게 움직여요! 그러나 기본적으로 논술의 기초는 독서 입니다. 논술의 특성 논술은 이성이 발달하는 4학년부터 가르치면 좋아요. 정확한 논술은 내 생각을 이성적으로 설득하는 것이기 때문이에요. 저학년은 감성발달에 좋은 교육이 좋습니다. 1. 주제와 과제에 대해 논리 에 맞게 독자 설득 2. 합리적 근거를 제시해 논증하는 논리적 글쓰기 3.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책을 제시하는 글쓰기 - 논술은 보다 종합적 사고력이 요구되는 글쓰기에요 - 문제를 발견하는 걸 넘어 창의적으로 대책을 찾아야 해요 4. 문제의식이 없으면 논설문을 쓸 이유가 없다 - 문제해결능력과 비.. 2020. 9. 6. 메타인지 | 0.1%의 비밀, 자기객관화, 자신의 기억력을 바라보는 눈의 차이, 출력하는 공부, 말하기, 글쓰기, 오래 기억, 학습효율성, 자기주도학습 “메타인지”란? '메타인지(Metacognition)'란 한단계 고차원을 의미하는 ‘메타’와 어떤 사실을 안다는 뜻의 ‘인지’를 합친 용어로, 자신의 인지능력에 대해 알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무언가를 배우거나 실행할 때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자기객관화 능력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메타인지 #자기객관화 #아는것과모르는것 우등생과 열등생을 가르는 척도 메타인지 능력의 차이 0.1%의 비밀이라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전국모의고사 석차 0.1% 안에 들어가는 800명의 학생들과 평범한 학생들을 비교 실험을 하며 두 그룹 간의 차이를 탐색하는데 예상과 달리 I.. 2020. 9. 6. 스미스의 국부론 (이재유, 삼성출판사, 2006) l 경제를 움직이는 사람의 동기는 이기심이다. © jpvalery, 출처 Unsplash 스미스는 경제를 움직이는 사람들의 동기는 이기심이라고 말합니다. 자유로운 활동이 보장된다면, 사람들은 이기심과 생활을 개선하려는 본능에 의해 자율적으로 경제 활동을 하고 부를 축적한다는 것이죠. 27p 인간은 항상 주위 사람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데, 이 도움을 오로지 주위 사람들의 자비에서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오히려 지신의 이익을 위해 주위 사람의 이기심을 자극하고, 자신의 요구 사항을 받아들이는 것을 주위 사람에게도 이익이 된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 더 좋다. 다른 사람과 거래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그렇게 하려고 한다. 내가 필요한 것을 네가 주면, 네가 필요한 것을 내가 주겠다는 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필요한 호의.. 2020. 9. 5. 이전 1 2 3 4 5 6 7 8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