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엄마 걱정
시의 화자
뜻 |
- 시에서 말하는 이 - 시인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내세운 인물 |
|
특징 |
- 시에서 다루는 내용은 화자의 눈과 입을 통해 전달 - 어떤 화자를 선택하는지에 따라 작품의 내용과 주제, 분위기 등이 달라짐 |
화자의 상황과 정서, 유형
화자의 상황 |
화자가 어떤 처지에 놓여있는가 화자가 처해 있는 시간적, 공간적, 심리적 상황 작품의 의미와 정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 |
|
화자의 정서 |
화자가 시적 대상이나 시적 상황에 대해 느끼는 감정 기쁨, 분노, 슬픔, 즐거움, 사랑, 미움 등의 여러 감정 다룸 |
|
화자의 유형 |
겉으로 드러나는 경우: 시에 '나'가 드러남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경우: 시에 '나'가 드러나지 않음 |
엄마 걱정 _기형도
갈래 |
현대시 |
제재 |
유년 시절의 기억 |
특징 |
화자가 자신의 과거를 회상 비유를 사용해 화자의 정서 드러냄 |
시의 화자 |
- 시간 : 과거-현재 - 처지 : 어린 화자가 열무 팔러 시장에 간 엄마 기다림 - 어른이 된 화자가 과거 회상 - 행동 : 밤늦도록 엄마가 돌아오지 않아 빈방에 엎드려 훌쩍거림 - 유년 시절을 생각하며 눈시울이 뜨거워짐 - 정서: 무서움, 외로움 - 슬픔 |
시의 표현 |
활유법: 해는 시든지 오래 직유법: 찬밥처럼 방에 담겨 / 배춧잎 같은 발소리 은유법: 내 유년의 윗목 |
시어의 역할 |
- 찬밥, 빈방, 혼자, 윗목: 화자의 외로운 처지 드러냄 - 금 간 창틈: 유년 시절 화자의 어려웠던 경제적 상황 드러냄 - 빗소리: 화자의 외로움과 무서움을 더해줌 |
(2) 동백꽃
소설의 서술자
- 소설에서 독자에게 이야기를 전달하는 이
- 소설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작가가 창조한 허구적 인물
소설의 시점
- 서술자가 사건이나 인물 등을 바라보는 관점을 말함
- 서술자의 위치와 시각(태도)에 따라 나누는 것이 일반적
1) 서술자가 이야기 속에 위치하는 경우: 소설에 '나'가 등장
2) 서술자가 이야기 밖에 위치하는 경우: 소설에 '나'가 등장하지 않음.
동백꽃_김유정
갈래 |
현대 소설 |
제재 |
동백꽃 |
배경 |
시간: 1930년대 봄 / 공간: 강원도 농촌 마을 |
주제 |
농촌 소년과 소녀의 사랑 |
특징 |
1. 어리숙하고 순박한 인물 서술자로 설정해 해학성 높임 2. 토속적 어휘 사용해 향토적 분위기 자아냄 3. 현재-과거-현재 역순행적 구성 취함 |
주요인물 |
'나' : 외지에서 마을로 들어온 가난한 소작인의 아들 (눈치 없고 어수룩하고 순박함) '점순이' : 소작인을 관리하는 마름의 딸 (영악하고 집요함) |
서술자의 특징과 효과 |
'나' (서술자) : 점순이 심리 제대로 파악 못함 '점순이의 심리' : 나에게 관심이 있으며, 친해지고 싶음 독자 : 점순이의 말과 행동을 통해서 점순이의 심리 눈치챔 - 독자들은 아는 사실을 '나'가 눈치 채지 못하는 모습이 소설의 재미 더함. 작품 전체가 해학적인 분위기 띠게 함 |
소재의 역할 |
-닭싸움 : 나에 대한 점순이의 원망과 화 / 나와 점순이의 힘의 관계 / 나와 점순이의 갈등 키우고 결말해서 해소시키는 계기 - 감자 : 나에 대한 점순이의 관심 / 나의 거절 때문에 점순이와 갈등하는 원인 - 동백꽃 : 향토적이고 낭만적인 분위기 조성 / 나와 점순이 갈등 해소 되었음을 드러냄 |
댓글